한국형 달 궤도선 다누리, 29일 달 진입 여부 확인 가능할 듯
한국에서 만든 달 탐사선인 '다누리'가 순조롭게 순항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지난 12월 17일 달 궤도에 도착한 후 1차 진입기동을 실시하여 대략 달로부터 109km 타원궤도를 형성하였고 나머지 2-5차 기동을 통해 100km 원 궤도로 변경을 하게 되는데요, 지난 1차 기동시 670초 동안 진행방향으로부터 역추진을 진행하여 시속 8천 km의 속력을 7천5백 km로 줄였고 이어 지난 21일 2차 기동에도 성공하였습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다누리의 1, 2차 기동 결과를 분석한 결과 궤도 오차가 적다고 판단하여 지난 23일 예정되어 있었던 3차 기동을 생략하였습니다.
다누리는 현재 달을 타원 궤도로 공전을 하고 있는데요, 진입기동을 진행하면서 점차적으로 속도롤 낮추는 게 목표입니다.
총 5차 기동까지 예정되어 있었으나 3차 기동을 생략하였으니 이제 4, 5차 기동만 남아있는 상황입니다.
오늘이 12월 27일이니 26일 예정되어 있었던 4차 기동은 이미 실행을 하였을 것이고 이제 남아있는 5차 기동은 28일 예정되어 있습니다.
최종 성공 여부는 29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항우연이 밝혔습니다.
경우에 따라 4, 5차 기동이 통합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다누리의 전체 무게가 678kg인데 그중 연료가 260kg입니다.
전체 연료 중 168.5kg을 진입 기동에 사용한다고 합니다.
전체 연료의 65%가량을 진입 기동에만 사용하는 것인데 4, 5차 기동을 통합한다고 하더라도 연료의 사용량은 동일하여 결국에는 연료 효율성 측면에서는 크게 기대를 할 것이 없을 것 같습니다.
다누리 달 탐사선 향후 계획
오는 29일 다누리의 진입기동 성공여부 확인 후 제대로 성공한다면 내년 1월부터 다누리가 탑재하고 있는 시스템의 초기 동작을 점검하고 본체의 기능 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어 내년 2월부터 12월까지 달 상공 100km를 돌면서 탑재하고 있는 6개의 탑재체를 활용하여 탐사 임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다누리 탐사선이란?
'다누리'는 한국이 만든 달 탐사선입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주관으로 달 표면 탐사 및 향후 달 착륙선 대비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며 전체 예산 약 2,367억 원 정도 소요가 된 프로젝트입니다.
우리나라로서는 최초 달 탐사선이고 전 세계에서는 4번째 BLT 궤적 탐사선이라고 합니다.
총 6개의 기능을 탑재하고 있으며, 각 탑재 기능을 통해 서로 다른 목적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 우주인터넷
- 우주 탐사용 우주인터넷 통신 기술 시험용으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관
- 무게 0.8kg
- DTN 국제 표준인 'CCSDS'에 맞춰 소프트웨어 설계 되었음. 통신 시험을 위해 전자통신연구원 사계절 사진과 홍보영상, DTN 소개영상, BTS의 다이너마이트 뮤직비디오를 탑재하고 있음.
- 섀도캠
- 달의 영구음영지역 관측용 장비로 NASA가 주관
- 무게 10kg
- 기존 달 탐사선 카메라 대비 200배가량 민감함, 고해상도 카메라와 망원경 그리고 고감도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 자기장측정기
- 달 주변의 자기장 측정을 목적으로 경희대학교에서 주관
- 3.5kg
- 3개의 센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센서로 수집한 수치를 비교해 자기장 왜곡을 보정함.
- 다누리 본체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간섭을 피하기 위해 1.2m짜리 봉으로 설계되어 있음.
- 고해상도 카메라
- 달 착륙선 착륙 후보지 정밀 지형 관측을 목적으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주관
- 12kg
- 한국의 첫 우주 관측 카메라로써 빛 세기 변화와 달 복사에너지로 온도 차가 큰 우주 환경에서 17.5 ~ 18.5도를 유지하는 열설계가 되어 있음.
- 감마선 분광기
- 달 표면의 자원지도 작성을 목적으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주관으로 만들어졌다.
- 6.3kg
- 저에너지 감마선 측정이 가능하여 보다 많은 자원을 관찰할 수 있음. 6.3kg으로 역대 우주로 날아간 분광기 가운데 가장 가벼움.
- 광시야 편광 카메라
- 달 전체 편광 지도와 티타늄 지도 작성을 목적으로 한국천문연구원 주관으로 만들어졌다.
- 2.7kg
- 달 궤도에서 관측하는 세계 최초의 편광 카메라
- 빛의 산란을 이용해 픽셀보다 작은 단위의 달 표면 정보를 수집한다.
- UV 파장과 가시광 파장을 관측하여 티타늄과 헬륨-3 분포를 파악
이상으로 간략하게 우리나라 최초 달 탐사선인 '다누리'호에 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부디 잘 진입하여 남은 기간 동안 성공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으면 합니다.
'IT 관련 정보 > 프로그램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짜로 사진 개체 제거하는 가장 쉬운 방법, SnapEdit (0) | 2023.07.13 |
---|---|
무료로 동영상을 gif로 바꾸는 3가지 방법(맥북, 윈도우, 모바일) (0) | 2023.06.11 |
국제 증권 분석가 밍치궈(Ming-Chi Kuo), 2024년 초 신형 아이패드 미니 출시계획 분석 (0) | 2022.12.28 |
미국에 사시는 분들, Best Buy에서 Lenovo Smart Clock2 세일 한다고 합니다! (0) | 2022.12.17 |
크롬북(Chromebook) 화면 캡처 방법 (0) | 2022.08.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