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를 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처음 블로그를 시작하는 사람들은 아마도 스킨이나 글꼴 등 글의 스타일에 신경을 많이 쓸 것 같습니다.
그런데 블로그를 하시는 많은 분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말은 바로 꾸준히 글을 블로그에 업로드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글을 꾸준하게 쓰기 위해서는 여러 많은 고려 사항들이 있겠지만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글 쓰는데 온전히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져야 할 것 같은데요.
블로그를 쓰다 보면 대부분 제목을 쓴 후 본문을 쓰고 다시 소제목을 달고 다시 본문을 쓰는 형태로 글을 쓰게 됩니다.
티스토리에는 편하게 제목이나 본문의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단에 문단모양 메뉴가 있는데요, 클릭을 하시면 '제목 1', '제목 2' '제목 3' 등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글씨 크기도 다 다르게 적용이 되어 있어요.
구글 SOC에 맞춰 글을 쓴다고 나름 신경을 썼는데 글씨 크기 때문에 신경이 쓰이시는 분들이 많이 계실거라 생각합니다.
그럴 때 티스토리의 CSS를 조금만 손보면 글씨 크기에 대한 불편함 없이 편하게 글을 쓸 수 있습니다.
그럼 CSS란 무엇일까요?
CSS는 사용자에게 문서의 스타일이나 레이아웃 등 문서를 표시하는 방법을 지정하는 언어라고 보시면 됩니다.
쉽게 이야기 해서 HTML이라는 몸체에 CSS라는 옷을 입히면 옷에 따라 스타일이 변하게 되는 거잖아요?
CSS는 옷이라고 생각하면 굉장히 이해하기가 쉬워집니다.
그렇다면 문서를 위한 옷이니 만큼 간단히 표현해서 글씨 크기나 색깔, 문단 모양 등이 해당이 되겠죠?
블로그 글을 쓰는데 신경이 쓰이는 것은 '제목 1', '제목 2' 등 문단 모양에 따른 글씨 크기이니 만큼 이 글씨 크기를 동일하게 설정해 준다면 신경이 조금이라도 덜 쓰이게 되겠죠?
블로그 관리 - 스킨 편집 - HTML 편집 순으로 이동해 줍니다.
HTML 편집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HTML', 'CSS', '파일 업로드'가 있는데 우리는 ´CSS'를 클릭하여 '06. Entry Content'를 복사한 후 'command+F'를 눌러 붙여 넣은 후 해당하는 위치를 찾아줄 겁니다.
엔터를 치면 아래와 같이 '06. Entry Content'가 있는 위치로 이동을 하게 됩니다.
여기에 문단 모양의 '제목1, 제목2, 제목3...' 등 각 구성요소의 글씨 크기와 색깔 등의 정보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아래 사진을 보면 'Entry Content' 아래쪽에 'entry-content h1'이 있는데요, 이건 문단모양의 '제목 1'에 해당하는 내용이에요.
여러 요소들이 있는데 그중 'font-size : 1.6875em;'이 '제목 1'의 글씨 크기가 되겠습니다.
entry-content h1부터 h4까지 있고 그 아래에 'entry-content p'가 있는데요.
h1 - h4는 제목에 해당하는 거고 p는 본문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저는 h1은 그대로 두고 h2 - h4까지의 폰트 크기를 1.35em으로 통일하였습니다.
본문은 그보다 조금 더 작게 1.1em으로 설정을 했는데요, 글씨 크기는 본인의 취향에 맞게 설정하면 될 것 같습니다.
CSS 수정에 대해 막연한 두려움이 있었지만 하나씩 살펴보니 크게 어려운 게 아니죠?
한 번만 수정해 놓으면 그다음부터는 번거로움 없이 글을 쓸 수 있습니다.
시간을 내어 한번 수정해 보시고 막히는 부분이 있다면 댓글 달아 주세요.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꾹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블로그 관련 > 블로그 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SEO 검색엔진 최적화를 위한 최소한의 가이드 (0) | 2022.12.18 |
---|---|
드디어 구글 애드센스 승인이 났습니다! (0) | 2022.12.17 |
구글 애드고시 합격을 위한 블로그 수정 사항 (0) | 2022.08.30 |
구글 애드고시 낙방했습니다. (feat.부족한 부분 보완하기) (1) | 2022.08.26 |
티스토리 글 옆에 이미지 넣는 방법 (0) | 2022.08.08 |
댓글